주요 하드웨어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실제 컴퓨터 비유 설명
CPU (중앙처리장치) 컴퓨터의 두뇌. 모든 연산, 판단, 제어 작업을 처리하는 핵심 장치 공부하는 사람 - RAM(책상 위 공간)에 있는 과제를 실제로 계산하고 처리하는 두뇌
RAM (메모리) CPU가 빠르게 읽고 쓰기 위한
임시 작업 공간,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이곳에 올라옴
책상 위 공간 - 공부하는 사람(CPU)이 작업 중인 자료를 펼쳐 놓는 공간 (CPU가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이 머무는 공간)
SSD / HDD (저장장치) 파일,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장기적으로 저장하는 공간 책장 - 실행 중이지 않은 자료들이 정리되어 보관되는 곳, 필요할 때 책상 위 공간(RAM)으로 꺼내서 실행
GPU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영상, 3D 렌더링 등 고성능 그래픽 연산을 담당, AI 연산(딥러닝, 병렬처리)에도 필수 그림 그리는 조수이자 AI 보조 연구원 - 그래픽 작업뿐 아니라 AI 학습과 추론을 빠르게 수행하는 능력자
VRAM (비디오 메모리) GPU가 이미지, 텍스처, 모델 등 그래픽 및 AI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고속 메모리 책상 위 공간 (GPU 전용) - 그림 그리는 조수이자 AI 보조 연구원(GPU)이 현재 작업 중인 그래픽 이미지, 영상, 3D 모델 또는 AI 연산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하고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용 공간, RAM과 비슷하지만 GPU 전용
(GPU가 빠르게 일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료들이 머무는 공간)

 

※ VRAM은 GPU와 함께 장착되는 전용 메모리

※ 대부분의 일반 노트북은 내장 그래픽(iGPU)를 사용, 이들은 전용 VRAM이 없고,

    시스템 RAM에서 일부를 GPU가 빌려 쓰는 구조, 보통 자동으로 512MB ~ 2GB 정도를 공유해서 사용

※ VRAM이 없고 RAM을 공유할 때의 문제점

    => 성능 저하 : RAM -> GPU 전송 속도는 VRAM보다 훨씬 느림, 게임 / 그래픽 / AI 연산 속도 급감

    => 대역폭 부족 : RAM은 CPU와도 공유되므로, 동시 작업 시 병목 현상 발생

    => 용량 부족 : AI / 이미지 처리와 같이 GPU가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하면, RAM만으로는 부족

    => 발열 / 전력 이슈 : RAM과 GPU가 동시에 작동하므로 노트북 발열이 심해지고 스로틀링 (Throttling) 발생 가능

         (스로틀링 (Throttling) : CPU나 GPU가 과열되거나 전력 소모가 커질 때, 시스템이 자동으로 성능을 낮추는 현상)

 

CPU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사람에 비유 설명
코어 (Core) 공부하는 사람의 수 실제로 독립적인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사람 수
스레드 (Thread) 한 사람이 동시에 하는 일의 수
(멀티태스킹 능력)
코어 하나가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작업 흐름
(ex : 전화 받으며 책 읽기)
클럭 속도 (Clock Speed) 각 사람의 두뇌 회전 속도
(IQ + 집중력)
얼마나 빠르게 사고하고 작업을 처리하는지
(초당 연산 횟수, GHz 단위)

 

※ 4코어 8스레드, 4.0GHz CPU

    => 4명의 사람이 각각 멀티태스킹을 2개씩 하며, 모두 빠른 두뇌(4.0GHz)로 동시에 문제를 푸는 중

    => 4.0GHz : 1초에 40억 번의 명령어 처리 시도를 할 수 있음

 

 SSD vs HDD 차이

항목 SSD (Solid State Drive) HDD (Hard Disk Drive)
속도 매우 빠름 (부팅 10초 안팎) 느림 (부팅 30초 ~ 1분 이상)
내부 구조 반도체 기반, 움직이는 부품 없음 기계식 회전 디스크, 바늘로 읽음
충격 내성 강함 (이동 시 안정적) 약함 (떨어뜨리면 데이터 손상 위험)
소음 거의 없음 기계 회전 소리 있음
가격 비쌈 (같은 용량일 때) 저렴 (1TB 기준 SSD의 절반 이하 가격)
발열 적음 더 많음
수명 쓰기 수명 제한 있음 (일반 사용자에겐 큰 영향 없음) 이론상 오래 쓰면 모터 고장 등 발생
용도 부팅 디스크, 빠른 작업 필수인 용도 대용량 백업, 장기 저장용

 

 예시 상황 - 공부하는 사람(CPU)이 과제를 하려면?

1. 책장(SSD / HDD)에서 필요한 책을 꺼내서

2. 책상 위 공간(RAM)에 펼쳐놓고

3. 공부하는 사람(CPU)이 그 책을 보며 연산, 작성 작업을 함

 

※ 책장(SSD / HDD)이 좁으면 꺼낼 수 있는 책의 양이 제한됨

※ 책장(SSD / HDD)에서 책을 꺼내는 속도가 느리면 작업 시작도 늦어짐 (속도 : SSD > HDD)

    =>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운영체제(OS)는 그 프로그램의 파일들을 저장장치(SSD / HDD)에서 읽어서 메모리(RAM)에 적재

    => 저장장치의 읽기 속도가 빠를수록 실행이 빨라짐

    => SSD는 파일 접근 속도가 HDD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프로그램 실행 시간이 확 줄어듬

※ 책상 위 공간(RAM)이 좁으면 책을 계속 들었다 놨다 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고 느림

※ 공부하는 사람(CPU)이 느리면 과제 속도가 느림

 

결론 : 개발자용 노트북은 저장장치 SSD 512GB 이상 + 메모리 RAM 16GB 이상이 이상적

'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HW] 32비트 운영체제, 64비트 운영체제 비교  (0) 2025.08.02

<MySQL>

SELECT RC.REFERENCED_TABLE_NAME AS PARENT_TABLE
     , RC.TABLE_NAME AS CHILD_TABLE
     , RC.CONSTRAINT_NAME
  FROM INFORMATION_SCHEMA.REFERENTIAL_CONSTRAINTS RC
 WHERE RC.REFERENCED_TABLE_NAME = 'T_USER' -- 자식 테이블을 확인하고 싶은 부모 테이블명
 ORDER BY RC.TABLE_NAME

 

<Oracle>

SELECT PK.TABLE_NAME PARENT_TABLE
     , FK.TABLE_NAME CHILD_TABLE
     , FK.CONSTRAINT_NAME
  FROM ALL_CONSTRAINTS PK
     , ALL_CONSTRAINTS FK
 WHERE PK.CONSTRAINT_NAME = FK.R_CONSTRAINT_NAME
   AND PK.TABLE_NAME = 'T_USER' -- 자식 테이블을 확인하고 싶은 부모 테이블명
   AND FK.CONSTRAINT_TYPE = 'R'
 ORDER BY FK.TABLE_NAME

ping 명령어란?

  • 네트워크에서 특정 호스트(IP나 도메인명)가 정상적으로 연결 가능한지 확인하는 명령어
  • ICMP(Echo Request) 패킷을 보내고, 응답(Echo Reply)이 오는지 확인

 

기본 사용법 예시

ping google.com
  • 구글 서버가 응답 가능한지 확인
  • 출력에는 IP 주소, 응답 시간(ms), TTL(Time to Live) 정보 등이 포함

 

유용한 ping 옵션들 (Windows 기준)

옵션 설명
-t 무한 핑을 보냄 (강제 종료는 Ctrl+C)
-n [횟수] 지정한 횟수만큼 핑을 보냄
-l [크기] 보낼 패킷의 크기를 지정 (기본은 32바이트)
-4 IPv4 주소로 강제 설정
-6 IPv6 주소로 강제 설정

ping -n 5 google.com # google.com으로 5번 핑을 보냄
ping -l 1000 google.com # 1000 바이트 크기의 핑을 보냄
ping -t google.com # 무한히 핑 보내기, Ctrl+C로 종료

 

ping 외 함께 쓰면 좋은 네트워크 도구들

명령어 설명
tracert [도메인/IP] 목적지까지의 경로(라우터) 확인
nslookup [도메인] 도메인에 대한 DNS 레코드 확인
netstat -an 현재 열려 있는 네트워크 연결 확인
ipconfig 내 PC의 IP 주소 및 네트워크 설정 확인
telnet [host] [port] 특정 포트에 연결 가능한지 테스트

ping은 ICMP를 사용하므로, 방화벽에서 ICMP가 차단되어 있으면 응답이 오지 않을 수 있음, 이럴 땐 telnet, curl, nmap 등의 도구로 포트/서버 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고려

 

ping vs nslookup - 차이점 요약

항목 ping nslookup
목적 대상 서버에 접속 가능한지 확인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해석하거나 반대로 조회
사용 주체 네트워크 연결 확인 DNS 정보 확인
방식 ICMP 프로토콜 사용 DNS 질의(UDP/TCP)
주요 사용처 서버 응답 상태 확인, 지연 시간 측정 도메인 설정 확인, DNS 문제 디버깅

ping google.com # 도메인으로 IP 주소를 확인

nslookup google.com # 도메인으로 IP 주소를 확인

nslookup 142.250.206.238 # IP 주소로 도메인을 확인

 

cmd와 bash 비교

항목 cmd (Command Prompt) bash (Bourne Again SHell)
운영체제 Windows 전용 Linux, macOS, WSL, Git Bash 등
쉘 종류 Windows Command Shell Unix/Linux Shell
파일 확장자 .bat, .cmd .sh
스크립트 문법 Windows 전용 명령어 POSIX 기반 스크립트 문법
기능 확장성 제한적 매우 강력, 프로그래밍 수준
예시 명령어 dir, copy, ipconfig ls, cp, ifconfig, curl 등

 

Windows에서 bash를 쓰는 방법

방법 설명
WSL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indows 안에 Ubuntu 같은 Linux 환경 설치 가능
Git Bash Git 설치 시 같이 설치되는 간단한 bash 환경
Cygwin Linux 명령어를 Windows에서 사용하게 해주는 툴
Docker bash 환경을 컨테이너에서 실행 가능
Windows XP, Vista, 7, 8, 10, 11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관리자 권한 필요
macOS 모든 버전 (e.g. Monterey, Ventura 등) /etc/hosts sudo 권한 필요 (sudo nano /etc/hosts)
Linux Ubuntu, Debian, CentOS, Fedora 등 대부분 /etc/hosts sudo 권한 필요
Android 대부분의 버전 (루팅 필요) /system/etc/hosts 또는 /etc/hosts 루팅된 기기에서만 수정 가능
iOS 모든 버전 (탈옥 필요) /etc/hosts 탈옥된 기기에서만 접근 가능

 

브라우저가 도메인에 해당하는 IP를 찾는 순서

1. local cache를 검색

2. hosts 파일을 검색

3. 도메인 네임서버를 검색

 

local cache가 남아 있을 경우 -> cmd -> ipconfig /renew

(그럼에도 안될 경우 PC 재시작)

구분 AI 응용 개발 AI 모델 연구·개발
핵심 역할 OpenAI 등 기존 AI 모델을 활용하여
서비스/시스템에 적용
GPT, LLaMA 등 AI 모델 자체를 설계·개발·학습
사용 기술 LangChain, OpenAI API, HuggingFace
Transformers, FastAPI, Vector DB 등
PyTorch, TensorFlow, JAX, CUDA,
분산 학습 프레임워크 (DeepSpeed, FSDP)
요구 역량 - Python 실력
- API 연동 능력
- Prompt Engineering
- 프론트·백 연결
- 도메인 이해도 (ex. 물류, 전시 등)
- 딥러닝 수학 (선형대수, 확률, 최적화)
- 모델 구조 이해
- 논문 구현 능력
- 대용량 데이터 처리
- 하드웨어/GPU 병렬 학습
업무 예시 - GPT 기반 챗봇 구축
- 문서 요약 자동화
- 이미지 설명 생성
- 사내 시스템 AI 기능 추가
- GPT 같은 언어모델 학습
- LLM 구조 설계 및 개선
- 최신 논문 구현
- 학습 속도/성능 개선 연구
직군 예시 AI 서비스 개발자, 솔루션 엔지니어,
데이터 제품 엔지니어
AI 리서처, 모델 엔지니어,
MLOps 엔지니어, 연구원
학력 요건 학부 졸업 후 실무 경험 중심도 가능 대부분 석사 이상 (AI 대학원, 컴공, 수학 등),
논문 기반 연구 중심
입사 포지션 기업의 개발팀, DX팀, 서비스팀, 스타트업 CTO 빅테크 AI 연구소 (NAVER AI Lab,
KAIST AI, Google DeepMind 등)
장점 - 빠르게 실전 서비스로 연결 가능
- 다양한 산업에 응용력 높음
- 비전공자도 진입 가능
- 고급 연구·기술력 보유
- 논문 발표 등 성장 루트 다양
- 희소가치 높고 해외 이직 경쟁력 높음
단점 - 모델 자체 한계에 묶일 수 있음
- 트렌드에 종속적일 수 있음
- 진입 장벽 높음 (수학/학위/논문)
- 학습 시간, 자원 비용 큼
대표 기업 - 카카오, 네이버, 스타트업,
LG CNS, AI 솔루션 회사 등
- Google DeepMind, Meta FAIR,
NAVER AI Lab, 대학 연구소 등

1. 뉴스레터에 들어갈 이미지 파일 업로드

이미지를 티스토리 블로그에 업로드했다면 이미지 우클릭 -> 이미지 주소 복사

(뉴스레터에 넣을 이미지 수만큼 업로드)

 

2. 이미지 세부 영역에 하이퍼링크 추가를 해야 한다면 세부 영역 좌표 확인

https://www.maschek.hu/imagemap/ 접속 후 OR from the Internet: 부분에 1번 과정을 통해 얻은 이미지 주소를 넣은 후

accept -> 이미지가 나타나면 마우스 클릭으로 세부 영역 설정 -> 좌표 값 복사

 

3. 뉴스레터용 HTML 기본 양식 준비

1번 과정을 통해 얻은 이미지 주소를 img src 값에 넣고, 2번 과정을 통해 얻은 세부 영역 좌표를 coords 값에 넣는다.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1차 ○○○ 5월 뉴스레터</title>
</head>

<body leftmargin="0" topmargin="0">
	<div style="width:800px; margin: 0 auto;">
    
	<!-- img src 값에 뉴스레터1, 2 이미지 전체 경로 넣기 -->
	<img src="http://test.co.kr/uploads/2025/05/뉴스레터1.jpg" usemap="#001" border="0" alt="1차 ○○○ 5월 뉴스레터1" style="width: 100%; border: 0px; vertical-align: top;">   
	<img src="http://test.co.kr/uploads/2025/05/뉴스레터2.jpg" usemap="#002" border="0" alt="1차 ○○○ 5월 뉴스레터2" style="width: 100%; border: 0px; vertical-align: top;">
		
		<!-- 뉴스레터1 이미지 세부 영역에 하이퍼링크 추가 -->
		<map name="001">
			<!-- coords 값에 뉴스레터1 이미지 세부 영역 좌(x1), 상(y1), 우(x2), 하(y2) 좌표 넣기, href 값에 하이퍼링크 연결할 주소 넣기 -->
			<area shape="rect" coords="10,10,110,110" href="https://www.testpage1.co.kr/" alt="1차 ○○○ 5월 뉴스레터1 영역1" target="_blank" border="0" style="border: none;"/>
 			<area shape="rect" coords="20,20,120,120" href="https://www.testpage2.co.kr/" alt="1차 ○○○ 5월 뉴스레터1 영역2" target="_blank" border="0" style="border: none;"/>
		</map>
      
		<!-- 뉴스레터2 이미지 세부 영역에 하이퍼링크 추가 -->
		<map name="002">
			<!-- coords 값에 뉴스레터2 이미지 세부 영역 좌(x1), 상(y1), 우(x2), 하(y2) 좌표 넣기, href 값에 하이퍼링크 연결할 주소 넣기 -->
 			<area shape="rect" coords="30,30,130,130" href="https://www.testpage3.co.kr/" alt="1차 ○○○ 5월 뉴스레터2 영역1" target="_blank" border="0" style="border: none;"/>
			<area shape="rect" coords="40,40,140,140" href="https://www.testpage4.co.kr/" alt="1차 ○○○ 5월 뉴스레터2 영역2" target="_blank" border="0" style="border: none;"/>
			<area shape="rect" coords="50,50,150,150" href="https://www.testpage5.co.kr/" alt="1차 ○○○ 5월 뉴스레터2 영역3" target="_blank" border="0" style="border: none;"/>
			<area shape="rect" coords="60,60,160,160" href="https://www.testpage6.co.kr/" alt="1차 ○○○ 5월 뉴스레터2 영역4" target="_blank" border="0" style="border: none;"/>
		</map>
	</div>
</body>
</html>

'HTML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상대 경로 & 절대 경로  (0) 2025.02.23
[HTML] 태그 종류  (1) 2024.12.25
[HTML] form 태그 속성  (0) 2024.12.12

'LSY' 카테고리의 다른 글

[LSY] 노래  (0) 2023.05.05
[LSY] 사진  (0) 2022.12.03

상대 경로 & 절대 경로를 사용할 수 있는 HTML 태그들은 다른 리소스를 불러오거나 참조하는 태그들이다.

페이지 이동 : <a>, <link>, <iframe>
멀티미디어 : <img>, <audio>, <video>, <source>
스크립트 관련 : <script>
폼 관련 : <form>, <input>


필요할 때마다 상대 경로와 절대 경로를 잘 활용하면 된다.

 

상대 경로 (Relative URL)

href="www.naver.com"처럼 scheme(프로토콜, 예 : https://)이 없는 URL을 작성하면, 브라우저는 해당 URL을 현재 문서의 경로를 기준으로 해석한다.
예를 들어, 현재 페이지가 https://www.example.com/page.html이라면,
href="www.naver.com" -> https://www.example.com/www.naver.com 처럼 변환되어 엉뚱한 주소로 이동한다.

 

절대 경로 (Absolute URL)

href="https://www.naver.com"처럼 http:// 또는 https://를 포함한 주소는 절대 경로이다.
절대 경로는 현재 문서의 위치와 관계없이 항상 지정된 주소로 이동한다.
그래서 href="https://www.naver.com"으로 변경했을 때, 정상적으로 네이버 홈페이지가 열리는 것이다.

 

추가 설명 : //만 사용하는 경우

href="//www.naver.com"처럼 앞에 //만 붙이면, 현재 페이지의 프로토콜(http 또는 https)을 따라간다.
예 : 현재 페이지가 https://www.example.com/page.html이라면, href="//www.naver.com" -> https://www.naver.com
예 :  현재 페이지가 http://www.example.com/page.html이라면, href="//www.naver.com" -> http://www.naver.com
주로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맞추고 싶을 때 사용한다.

 

결론

href="이 부분에"

www.naver.com만 쓰면 상대 경로로 처리돼서 엉뚱한 경로가 나온다.
https://www.naver.com처럼 프로토콜을 포함하면 절대 경로가 되어 정확한 사이트로 이동한다.
//www.naver.com은 현재 페이지의 프로토콜을 따라가는 절대 경로 방식이다. 

 

https:// 또는 http://를 명시하는 것이 더 명확하고 안전한 방법이다.

'HTML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뉴스레터 제작  (1) 2025.05.02
[HTML] 태그 종류  (1) 2024.12.25
[HTML] form 태그 속성  (0) 2024.1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