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1) AI 개요 및 철학 (Artificial Intelligence Overview)
약자 | 풀네임 | 한글 명칭 | 설명 |
AI | Artificial Intelligence | 인공지능 | 인간의 인지, 사고, 판단, 학습 능력을 모방하는 기술 |
ML | Machine Learning | 머신러닝 | AI가 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학습하는 기술의 총칭 |
DL | Deep Learning | 딥러닝 |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머신러닝의 하위 기술 |
AGI |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 범용 인공지능 | 인간 수준의 지능을 가진 AI (ChatGPT는 아직 AGI 전 단계) |
Narrow AI | Narrow Artificial Intelligence | 특화형 인공지능 | 특정 업무(음성인식, 번역 등)에 특화된 AI |
※ AI는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다루는가?
2) 데이터 및 전처리 (Data & Preprocessing)
약자 | 풀네임 | 한글 명칭 | 설명 |
ETL | Extract, Transform, Load | 데이터 추출·변환·적재 | 데이터를 수집하고 AI가 학습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 |
EDA | Exploratory Data Analysis | 탐색적 데이터 분석 |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패턴, 이상치를 탐색 |
Feature Engineering | - | 특징 엔지니어링 | 모델이 잘 학습하도록 주요 변수(특징)를 선택 및 생성 |
Normalization | - | 정규화 | 데이터의 범위를 일정하게 조정해 학습 안정화 |
Data Augmentation | - | 데이터 증강 | 이미지 회전, 잡음 추가 등으로 학습 데이터 확장 |
Noise Filtering | - | 노이즈 필터링 | 센서나 음성 데이터 등에서 불필요한 신호 제거 |
※ AI는 어떻게 배우는가?
3) 학습 패러다임 (Learning Paradigms)
약자 | 풀네임 | 한글 명칭 | 설명 |
SL | Supervised Learning | 지도학습 | 정답이 있는 데이터를 학습 (예 : 고양이/개 분류) |
UL | Unsupervised Learning | 비지도학습 | 정답 없이 유사 패턴을 군집화 (예 : 고객 세분화) |
SSL | Self-supervised Learning | 자기지도학습 | 일부 데이터를 스스로 예측해 학습 (예 : 문장 일부 마스킹) |
RL | Reinforcement Learning | 강화학습 | 보상을 기반으로 행동을 개선 (예 : 자율주행, 로봇 제어) |
Semi-SL | Semi-supervised Learning | 반지도학습 | 라벨이 적은 데이터에 지도 + 비지도 병행 |
TL | Transfer Learning | 전이학습 | 다른 분야에서 학습한 모델을 재활용 |
FL | Federated Learning | 연합학습 |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고 분산 학습 (개인정보 보호 강화) |
※ AI는 어떤 구조로 동작하는가?
4) 모델 구조 및 학습 원리 (Model Architectures & Mechanisms)
약자 | 풀네임 | 한글 명칭 | 설명 |
NN | Neural Network | 인공신경망 | 인간 뉴런 구조를 모방한 AI의 기본 단위 |
CNN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합성곱 신경망 | 이미지·영상 인식에 특화된 구조 |
RNN | Recurrent Neural Network | 순환 신경망 | 시계열 데이터(텍스트, 음성)에 적합 |
LSTM | Long Short-Term Memory | 장단기 메모리 신경망 | 장기 의존 문제를 해결한 RNN |
Transformer | Transformer | 트랜스포머 | Attention 기반의 최신 구조 (GPT, BERT 기반) |
GAN |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 생성적 적대 신경망 | 가짜 데이터를 실제처럼 생성 (예 : 이미지 생성) |
AE | AutoEncoder | 오토인코더 | 데이터를 압축·복원하며 특징을 학습 |
Attention | - | 주의집중 메커니즘 | 입력 중 중요한 부분에 가중치를 주는 구조 |
BP | Backpropagation | 역전파 알고리즘 | 오차를 역전달해 가중치를 조정 |
Loss Function | - | 손실 함수 |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측정 |
Optimization | - | 최적화 | 학습 과정에서 손실을 최소화하는 수학적 기법 |
├─ Transformer
├─ BERT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 문맥 이해
├─ GP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 텍스트 생성
├─ T5 / BART (Encoder-Decoder Hybrid Models) : 문장 변환·요약
└─ LLM (Large Language Models) : 범용 초대형 모델
※ AI는 어디에 쓰이는가?
5) 응용 및 융합 분야 (Applied & Multimodal AI)
약자 | 풀네임 | 한글 명칭 | 설명 |
Multimodal AI | - | 멀티모달 인공지능 | 시각·음성·텍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 |
Cross-modal | - | 교차모달 학습 | 한 데이터로 다른 데이터 유형을 이해 |
Fusion Model | - | 융합 모델 | 서로 다른 모달 데이터를 통합 학습 |
Affective AI | - | 감정지능형 인공지능 | 인간 감정 인식 및 공감 반응 생성 |
Cognitive AI | - | 인지형 인공지능 | 인간의 사고·판단 과정을 모방 |
Empathetic AI | - | 공감형 인공지능 | 감정에 반응하며 공감 표현 |
NLP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자연어 처리 | 언어 이해 및 생성 (ChatGPT, 번역기 등) |
CV | Computer Vision | 컴퓨터 비전 | 이미지·영상 분석 기술 |
ASR |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 음성 인식 |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
TTS | Text-to-Speech | 음성 합성 | 텍스트를 자연스러운 음성으로 변환 |
※ AI는 어떻게 실제로 운용되는가?
6) 운영 및 자동화 체계 (AI Engineering & Automation)
약자 | 풀네임 | 한글 명칭 | 설명 |
MLOps | Machine Learning Operations | 머신러닝 운영체계 | 모델 개발, 배포, 모니터링 자동화 |
AutoML | Automated Machine Learning | 자동화 머신러닝 | 모델 설계·튜닝 과정을 자동화 |
Edge AI | Edge Artificial Intelligence | 엣지 인공지능 | 클라우드가 아닌 디바이스 내에서 연산 수행 |
TinyML | Tiny Machine Learning | 초소형 머신러닝 | 저전력 장치에서도 모델 구동 가능 |
Pipeline | - | 학습 파이프라인 | 데이터 → 학습 → 배포의 자동화 흐름 |
Cloud AI | - | 클라우드 인공지능 | AWS, GCP 등 클라우드 기반 학습·배포 환경 |
※ AI의 결과를 어떻게 평가하고 설명할까?
7) 성능 평가 및 해석 (Evaluation & Explainability)
약자 | 풀네임 | 한글 명칭 | 설명 |
XAI | Explainable AI |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 AI의 판단 근거를 시각화해 신뢰 확보 |
Metrics | - | 평가 지표 |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F1-score 등 |
Confusion Matrix | - | 혼동 행렬 | 분류 모델의 예측 정확도 분석 도표 |
ROC-AUC |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 Area Under Curve | ROC 곡선 | 분류기의 민감도 vs 특이도 평가 |
Human-in-the-loop | - | 인간 개입 학습 | AI 결과를 사람이 검증·보정하며 학습 품질 향상 |
※ AI는 어떻게 인간 사회와 공존할까?
8) 윤리, 보안 및 사회적 고려 (AI Ethics & Governance)
약자 | 풀네임 | 한글 명칭 | 설명 |
Responsible AI | - | 책임 있는 인공지능 | 윤리·공정성·투명성을 갖춘 AI 개발 원칙 |
Fairness | - | 공정성 | AI가 특정 집단에 편향되지 않도록 하는 원칙 |
Transparency | - | 투명성 | AI 의사결정 과정을 공개하고 설명 가능하게 함 |
Accountability | - | 책임성 | AI 결과에 대한 명확한 책임 주체 설정 |
Bias Mitigation | - | 편향 완화 | 데이터/모델의 사회적 편향을 제거 |
Privacy-preserving AI | - | 개인정보 보호형 AI | 민감한 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 AI |
AI Safety | - | AI 안전성 | 인간의 통제 밖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보장 |
※ 인공지능(AI)의 전체 구조 계단도
[1단계] 인공지능의 개념과 철학 (AI Overview)
└─ 인공지능(AI) : 인간의 사고·판단·학습을 모방하는 기술
├─ 머신러닝(ML) : 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학습하는 기술
│ └─ 딥러닝(DL) : 인공신경망 기반의 고도화된 학습 방식
│ └─ 신경망 구조(NN, CNN, RNN, Transformer 등)
└─ 범용 AI(AGI) vs 특화 AI(Narrow AI)
└─ 미래 목표 : 인간 수준의 지능 실현
[2단계] 데이터와 전처리 (Data Foundation)
└─ AI의 학습 재료 : 데이터 수집, 정제, 가공
├─ ETL (추출·변환·적재)
├─ EDA (탐색적 데이터 분석)
├─ Feature Engineering (특징 선택·생성)
├─ Normalization / Filtering (정규화·노이즈 제거)
└─ Data Augmentation (데이터 증강)
[3단계] 학습 패러다임 (Learning Paradigms)
└─ AI가 배우는 방식
├─ 지도학습 (Supervised)
├─ 비지도학습 (Unsupervised)
├─ 자기지도학습 (Self-supervised)
├─ 강화학습 (Reinforcement)
├─ 반지도학습 (Semi-supervised)
├─ 전이학습 (Transfer)
└─ 연합학습 (Federated)
[4단계] 모델 구조 및 학습 원리 (Model Architecture)
└─ AI의 '두뇌'가 되는 구조
├─ Neural Network (NN)
├─ CNN / RNN / LSTM
├─ Transformer (BERT, GPT)
├─ GAN (생성형 모델)
├─ AutoEncoder (AE)
└─ Attention / Backpropagation / Loss / Optimization
[5단계] 응용 및 융합 (Applied AI)
└─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AI
├─ Multimodal AI (시각+음성+텍스트)
├─ Affective AI (감정 인식·공감형 AI)
├─ Cognitive AI (인지·판단형 AI)
├─ NLP / CV / ASR / TTS
└─ Empathetic AI (공감형 돌봄 AI, 로봇 등)
[6단계] 운영 및 자동화 (AI Engineering)
└─ 실제 산업 환경에서 AI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
├─ MLOps (AI 운영 자동화)
├─ AutoML (모델 자동 구축)
├─ Edge AI / TinyML (로컬·저전력 AI)
├─ Cloud AI (클라우드 기반 학습)
└─ Pipeline (데이터→학습→배포 자동화)
[7단계] 평가 및 해석 (Evaluation & XAI)
└─ AI의 판단을 검증하고 신뢰 확보
├─ XAI (설명 가능한 AI)
├─ Confusion Matrix / ROC-AUC (정량 평가)
├─ Human-in-the-loop (인간 개입형 학습)
└─ Metrics (정확도, 재현율, F1-score 등)
[8단계] 윤리, 보안, 사회적 책임 (AI Ethics & Governance)
└─ AI가 인간 사회와 공존하기 위한 원칙
├─ Responsible AI (책임 있는 AI)
├─ Fairness / Transparency / Accountability
├─ Bias Mitigation (편향 완화)
├─ Privacy-preserving AI (개인정보 보호)
└─ AI Safety (안전성과 통제성)
'AI >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머신러닝 수학 5대 핵심 개념 (NumPy 코드로 실습) (0) | 2025.10.21 |
---|---|
[AI] 응용 개발 vs 모델 연구·개발 (1)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