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참고자료

[AI] Web Service vs AI Service (데이터 흐름으로 비교하기)

by SeungyubLee 2025. 11. 7.


※ Web Service 데이터 흐름

[사용자] 
   │  (요청:"상품 목록 보여줘")
   ▼
[프론트엔드] 
   │  (API 요청 전송)
   ▼
[백엔드 서버] 
   │  (DB에 데이터 요청)
   ▼
[데이터베이스] 
   │  (요청한 데이터 반환)
   ▲
[백엔드 서버] 
   │  (데이터 가공)
   ▼
[프론트엔드] 
   │  (응답 전송)
   ▼
[사용자에게 결과 표시]

 

DB에 저장된 값을 꺼내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구조


AI Service 데이터 흐름

[사용자]
   │  (요청:"나에게 맞는 전시를 추천해줘")
   ▼
[프론트엔드]
   │  (API 요청 전송)
   ▼
[백엔드 서버]
   │  (AI 모델 서버에 전달)
   ▼
[AI 모델 서버]
   │  (필요한 데이터 탐색)
   ▼
[데이터 저장소]
   │  (모델이 참고할 데이터 불러옴)
   ▲
[AI 모델 서버]
   │  (데이터 분석 + 결과 생성)
   ▼
[백엔드 서버]
   │  (결과 정리)
   ▼
[프론트엔드]
   │  (응답 전송)
   ▼
[사용자에게 결과 표시]

 

요청을 받은 AI 모델이 데이터를 이해하고 새롭게 결과를 생성해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구조


 비교 요약

구분 Web Service AI Service
요청 대상 DB AI 모델
처리 방식 저장된 값 단순 조회 데이터 기반 추론·생성
흐름 사용자 → DB → 사용자 사용자 → 모델 → 데이터 → 모델 → 사용자
결과 형태 그대로 보여줌 새로 만들어냄 (추천, 요약, 답변 등)

 

일반 Web Service는 "정해진 답"을 보여주고, AI Service는 "데이터를 이해해서 새로운 답"을 만들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