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참고자료

[AI] MCP(Model Context Protocol)

by SeungyubLee 2025. 11. 6.

※ MCP(Model Context Protocol)란?

AI 개발을 훨씬 쉽고 빠르게 만들어주는 표준 연결 규칙
요즘 기업들은 챗봇, 업무 자동화, 검색 시스템 등 다양한 AI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AI는 똑똑해도, 회사 시스템에 쉽게 접근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회사 고객센터 시스템에 AI 챗봇을 만든다고 가정해 보자
AI가 잘 답하려면 아래 데이터를 알아야 한다.

 

· 고객 정보
· 주문 내역
· 배송 상태
· FAQ 문서
· 내부 지식 문서

하지만 이 정보들은 다 회사 내부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고, 시스템마다 접근 방식, 보안 방식, 데이터 형태가 모두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AI를 사용하기 어렵다.

 

※ AI 개발 (MCP 없을 때)

AI에게 시스템 사용법을 하나씩 다 가르쳐야 했다.

 

· 고객 DB 연동 코드 개발
· 주문 시스템 연동 개발
· 권한 처리 로직 추가
· 로그 파일 가져오는 방식 따로 구현
· 업데이트 때마다 수정 필요

즉, AI 모델 만들기보다 시스템 연결 개발이 더 힘든 경우가 많았다.

결과는 어땠을까?

→ 개발 시간 오래 걸림
→ 유지보수 복잡
→ 보안 위험
→ 시스템 바뀌면 다시 개발
→ PoC만 하고 실제 적용 못 하는 경우 많음

 

AI 개발 (MCP 적용 후)

MCP는 AI가 외부 시스템을 표준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규칙이다.
"이 방식대로만 말하면, 시스템이 알아서 연결 구조를 제공할게"
즉, AI가 회사 시스템과 공통된 언어로 대화하게 하는 것


· "고객 정보를 조회해줘"
· "주문 상태를 가져와줘"
· "문서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줘"
· "문서를 업데이트해줘"


이제 AI는 서비스마다 다른 규칙을 몰라도 된다.


→ 연결 방식 통일
→ 개발 속도 증가
→ 보안/권한 통합
→ 유지보수 쉬움
→ 확장성 극대화

 

예시로 보는 차이

상황 MCP 없는 방식 MCP 방식
DB에서 고객 정보 확인 DB 연결 코드 개발, SQL 커스텀 "고객 정보 조회" 라고 명령하면 됨
주문 시스템 연결 시스템별 API 학습 필요 MCP가 표준 방식 제공
권한 인증 각 시스템마다 별도 처리 MCP가 공통 인증처리 규칙 제공
문서 검색 파일 시스템 연동 코드 필요 MCP "문서 검색" 명령 사용
유지보수 수정할 때마다 코딩 필요 MCP 인터페이스 그대로 사용

 

<핵심>

MCP 없는 방식 MCP 방식
AI가 업무 + 시스템 조작까지 학습 AI는 업무만 이해, 시스템 조작은 MCP가 처리
연동 코드 수동 개발 표준 명령으로 자동 처리
빠르게 PoC는 가능하지만 실제 운영은 어려움 운영 환경에서도 바로 적용 가능

 

 비유

<과거>

AI에게 일을 시키려면 이렇게 말해야 했다.
"저 문 열고, 저기서 파일 찾고, 이 함수 써서 데이터 뽑고.."
즉, AI가 회사 시스템 조작법까지 배워야 했다.

<MCP 시대>

그냥 말하면 된다.
"이 고객의 주문 기록 보여줘"
문 여는 법, 파일 찾는 법, 데이터 뽑는 법은 MCP가 대신 처리한다.

 

 결론

MCP 덕분에 기업은 복잡한 시스템 연동 개발 없이 AI를 바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다.

 

MCP 아키텍처

┌───────────────┐
│   사용자(User) │
└───────┬───────┘
        │ 질문/명령 (Input)
        ▼
┌───────────────┐
│     AI 모델     │  ← ChatGPT, LLM
└───────┬───────┘
        │ 요청 Payload
        ▼
┌──────────────────────┐
│       MCP Layer       │ ← 통역/중계/표준화
│  (Model Context API)  │
└───┬─────────┬────────┘
    │         │
    │         │ 표준 명령 전달
    ▼         ▼
┌─────────┐ ┌──────────┐ ┌─────────────┐
│ DB Tool │ │ File Tool │ │  API Tool   │   ← MCP Tools (Plugins)
└───┬─────┘ └────┬─────┘ └──────┬──────┘
    │            │            │
    │ Query      │ File Read  │ API Call
    ▼            ▼            ▼
┌─────────┐ ┌──────────┐ ┌────────────┐
│Database │ │ File Store│ │ Internal   │
│(MySQL…) │ │ (Docs)    │ │ Systems/ERP│
└───┬─────┘ └────┬─────┘ └──────┬──────┘
    │            │            │
    │ 결과(Return Data)      │
    ▼            ▼            ▼
┌─────────┐ ┌──────────┐ ┌─────────────┐
│ DB Tool │ │ File Tool │ │  API Tool   │
└───┬─────┘ └────┬─────┘ └──────┬──────┘
    │            │            │
    │ 처리된 결과 전달        │
    ▼            ▼            ▼
┌──────────────────────┐
│        MCP Layer      │ ← 응답 수집 및 포맷 통일
└───────┬──────────────┘
        │ 결과 전달
        ▼
┌───────────────┐
│     AI 모델     │ ← 데이터를 이해하고 답변 구성
└───────┬───────┘
        │ 응답 생성(Output)
        ▼
┌───────────────┐
│   사용자(User) │ ← 사용자가 결과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