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이중화(Active-Active, Active-Standby)
서버 인프라를 구성할 때 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이중화를 진행하게 된다.
이중화는 물리적/논리적 서버를 구성해 하나의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서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Active-Active 구조는 L4 스위치 등 부하분산(SLB) 로드밸런싱을 통해 기능/성격에 따라 1번 또는 2번 서버로
나누어 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웹서버는 L4 스위치 SLB(Server Load Balancing)으로 구성하고
DB는 Oracle RAC(Real Application Cluster)를 활용, 디스크는 Veritas CFS(Cluster File System)을 통해 구성한다.
이런 구성은 1번 장비 장애 시 2번 장비(서버)로 중단 없이 운영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Down Time이 존재하지 않는다.
Active-Standby 구조는 서버를 이중화하여 구성하지만 동시에 부하분산을 통해 서비스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 시 서비스를 이전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과정은 클러스터 하트비트(Heartbeat) 등으로 시스템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특이사항이
발생하는 경우에 수동으로 2번 서버로 전환하거나, 크리티컬한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서비스를 전환시킨다.
이때 Down Time이 1~2초 정도(서버 운영 환경에 따라 다름) 발생하게 된다.
결국 서버 운영을 할 때 부하분산(L4)이 상시 필요한 구간이 있을 경우 Active-Active 구조를, 그 외 이중화의 경우
Active-Standby 구조로 구성한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브라우저에서 미리보기 가능한 파일 형식 (0) | 2024.12.18 |
---|---|
[IT] 쿠키 & 세션 & 토큰 & 캐시 (0) | 2023.07.15 |
[IT] Cloud Service 장단점 (0) | 2023.05.30 |
[IT] Web Server & WAS (0) | 2023.02.26 |
[IT] Edge Computing (0) | 202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