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T] Cloud Service 장단점

SeungyubLee 2023. 5. 30. 20:33

<장점>
1. 경제성
클라우드 서비스는 큰 초기 비용 투자 없이 필요한 때에만 추가 자원에 대한 비용을 내고

필요하지 않은 자원에 대해서는 지급을 중지할 수 있어서 경제적으로 쓸 수 있다.

2. 편의성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가운데서도 특히 SaaS(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의 경우,

인프라나 운영 서버 등을 사용자가 관리할 필요 없이 단순히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만 하면 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두드러진다.

3. 가용성
클라우드는 많은 인프라, 운영 서버를 24시간 365일 항시 제공하기 때문에 높은 가용성을 지닌다.

그뿐만 아니라 클라우드에서는 서버의 이중화를 통한 고가용성을 얻을 수 있어서 가용성 면에서 상당한 이점을 가진다.

4. 유연성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에 맞게 서비스를 확장, 애플리케이션을 맞춤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와 사용자의 기업에 맞춘 클라우드 환경에 접근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서

유연성 역시 클라우드의 장점이 된다.

5. 빠른 구축 속도
기존에는 기업 내에 물리적 서버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온 프레미스 방식(소프트웨어를 서버에 직접 설치해 쓰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할 때, 각종 물리적 서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많은 시간이 절약된다.

그뿐만 아니라 클라우드를 통한 서버 그리고 시스템의 구축은 시간 및 비용의 절약이 가능하며 업데이트 역시 쉽게

가능해진다.

 

 

 

<단점>

1. 보안 이슈
최근, 내부 클라우드와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연계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클라우드가 각광받는 이유 중 하나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의 경우, 기업의 데이터는 기업 외부에 존재하는 클라우드에 보관된다.

기업의 데이터는 핵심 경쟁력의 요소이다. 기업 외부로 노출돼서는 안되는 데이터나 국가나 공공기관의 경우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2. 초과 비용
클라우드 서비스는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건 사실이다. 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는 이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이용하는 서비스가 많거나 기업의 규모가 커질 경우 결코 저렴하지 않다. 기존 호스팅 방식이 더 저렴한 경우도 있다.
한편, 학생이 스터디나 테스트를 목적으로 활용하기엔 부담 없이 사용 가능하다. AWS의 경우 일반 계정이 아닌

edu 계정으로 가입하면 크레딧이 주어진다. 그 크레딧을 사용해 서비스를 익히고 일반 계정으로 가입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